맨위로가기

정관 (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관은 627년부터 649년까지 당 태종 시대에 사용된 연호이다. 당 태종은 현신들을 등용하고 간언을 받아들여 선정을 펼쳐 수나라 말의 전란으로 피폐해진 민생을 회복시켰으며, 이를 정관의 치라고 부른다. 정관 연간에는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했으며, 후세의 치정의 모범으로 여겨진다. 정관 연호는 신라, 고창국, 일본 등 주변 국가에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연호 - 천보 (당)
    천보는 742년부터 756년까지 당 현종 치세 후반기에 사용된 연호로, 안사의 난 이전 당의 번영을 상징했으나 이후 지덕으로 변경되었으며, 안록산 임명, 양귀비 책봉, 돌궐 쇠퇴, 고선지 정복, 탈라스 전투 패배 등 당 왕조의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한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화의 시대적 배경이다.
  • 당나라의 연호 - 지덕 (당)
    지덕은 당 숙종이 안사의 난 시기에 사용한 연호로, 756년부터 75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연나라, 발해, 남조, 일본 등의 여러 나라에서도 각자의 연호가 함께 사용되었다.
정관 (당)
연호 정보
연호정관(貞觀)
사용 기간627년 ~ 649년
국가당(唐)
군주당 태종 이세민
당 태종 시기에 위치한 정관
당 태종 시기에 위치한 정관

2. 연대 대조표

1월 1일(음력 1월 1일) '''무덕'''(武德) 10년에서 '''정관'''(貞觀)으로 연호가 개원되었다.[1][2][3][4][5]

1월 1일(음력 1월 1일) '''정관'''(貞觀) 24년에서 '''영휘'''(永徽)로 연호가 개원되었다.[6][7][8][9][5]

정관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기627년628년629년630년631년632년633년634년635년636년
간지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갑오(甲午)을미(乙未)병신(丙申)
정관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기637년638년639년640년641년642년643년644년645년646년
간지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갑진(甲辰)을사(乙巳)병오(丙午)
정관21년22년23년
서기647년648년649년
간지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



정관(貞観)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량사도영륭(永隆) 11영륭 12--------
고창연수(延壽) 4연수 5연수 6연수 7연수 8연수 9연수 10연수 11연수 12연수 13
신라건복(建福) 44건복 45건복 46건복 47건복 48건복 49건복 50건복 51
인평(仁平) 원년
인평 2인평 3
정관(貞観)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고창연수 14연수 15연수 16연수 17------
신라인평 4인평 5인평 6인평 7인평 8인평 9인평 10인평 11인평 12인평 13
일본--------대화(大化) 원년대화 2
정관(貞観)21년22년23년
신라인평 14
태화(太和) 원년
태화 2태화 3
일본대화 3대화 4대화 5


3. 정관의 치

태종위징 등 현신들을 등용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이러한 태종의 치세를 '정관의 치'라고 부른다.[1]

3. 1. 정치

태종위징 등 현신들을 등용하여 널리 간언을 받아들여 선정을 베풀었고, 말의 전란에서 민생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정관의 치).[1]

정관 연간에는 부역도 가볍고 흥산이 장려되었으며, 돌궐과의 방어전에서도 승리하여 사회는 안정되고 경제는 번영을 보았다.[1]

후세의 치정의 모범으로 여겨지며, 그 원리는 『정관정요』(태종과 명신들의 논의를 기록한 책)에 자세히 나와 있다.[1]

3. 2. 경제

태종은 위징 등 현신들을 등용하여 널리 간언을 받아들여 선정을 베풀었고, 말의 전란으로 피폐해진 민생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정관의 치).[1]

정관 연간에는 부역이 가벼웠고, 흥산(산업 진흥)이 장려되었으며, 돌궐과의 방어전에서도 승리하여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하였다.[1]

3. 3. 사회

태종은 위징 등 현신들을 등용하여 널리 간언을 받아들여 선정을 베풀었고, 말의 전란에서 민생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정관의 치). 정관 연간에는 부역이 가볍고 흥산이 장려되었으며, 돌궐과의 방어전에서도 승리하여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을 이루었다. 후세에 치정의 모범으로 여겨지며, 그 원리는 『정관정요』(태종과 명신들의 논의를 기록한 책)에 자세히 나와 있다.

3. 4. 문화

정관 연간에는 부역이 가볍고 산업이 장려되었으며, 돌궐과의 방어전에서 승리하여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하였다. 당 태종의 이러한 치세는 후세에 정치의 모범으로 여겨지며, 그 원리는 『정관정요』(태종과 명신들의 논의를 기록한 책)에 자세히 나와 있다.

4. 동시대 다른 나라의 연호

정관 연간에 동시대 다른 나라에서 사용한 연호는 다음과 같다.

나라연호
영륭 (618년 ~ 628년)
고창연수 (624년 ~ 640년)
일본다이카(大化) (645년 ~ 650년)



한국의 신라에서 사용한 연호에 대해서는 한국 부분을 참조하라.

4. 1. 한국

인평 원년인평 2인평 3정관(貞観)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서력637년638년639년640년641년642년643년644년645년646년신라인평 4인평 5인평 6인평 7인평 8인평 9인평 10인평 11인평 12인평 13정관(貞観)21년22년23년서력647년648년649년신라인평 14
태화 원년태화 2태화 3


4. 2. 중국

고창국



정관(貞観)원년(元年)2년(二年)3년(三年)4년(四年)5년(五年)6년(六年)7년(七年)8년(八年)9년(九年)10년(十年)
량사도영륭 11영륭 12--------
고창연수 4연수 5연수 6연수 7연수 8연수 9연수 10연수 11연수 12연수 13
정관(貞観)11년(十一年)12년(十二年)13년(十三年)14년(十四年)15년(十五年)16년(十六年)17년(十七年)18년(十八年)19년(十九年)20년(二十年)
고창연수 14연수 15연수 16연수 17------


4. 3. 일본

정관(貞観)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일본--------다이카(大化) 원년다이카(大化) 2년
정관(貞観)21년22년23년
일본다이카(大化) 3년다이카(大化) 4년다이카(大化) 5년


참조

[1] 문서 정해년(丁亥年) 1월 을유일(乙酉日)
[2] 서적 구당서(舊唐書) 권2 〈본기〉제2 - 태종(太宗) 상 :s:zh:舊唐書/卷2
[3] 서적 신당서(新唐書) 권2 〈본기〉제2 - 태종(太宗) :s:zh:新唐書/卷002
[4] 서적 자치통감(資治通鑑) 권192 〈당기〉(唐紀) 8 :s:zh:資治通鑑/卷192
[5]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6] 문서 경술년(庚戌年) 1월 신축일(辛丑日)
[7] 서적 구당서(舊唐書) 권4 〈본기〉제4 - 고종(高宗) 상 :s:zh:舊唐書/卷4
[8] 서적 신당서(新唐書) 권3 〈본기〉제3 - 고종(高宗) :s:zh:新唐書/卷003
[9] 서적 자치통감(資治通鑑) 권199 〈당기〉(唐紀) 15 :s:zh:資治通鑑/卷1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